이번 글에서는 대학 등록금 순위 관련 정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학 입시 준비를 앞두고 2025년 대학교 등록금 순위 관련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내용을 미리 한 번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아래 글에서는 수시 3등급 대학, 수시 4등급 대학, 수시 5등급으로 갈 수 있는 대학 관련 정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내신 3등급으로 갈 수 있는 대학, 내신 4등급으로 갈 수 있는 대학, 내신 5등급으로 갈 수 있는 대학 관련 정보가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대학 등록금 순위: 1~20위
순위 | 대학명 | 연평균 등록금 (원) |
---|---|---|
1 | 연세대학교 | 9,700,000 |
2 | 이화여자대학교 | 9,600,000 |
3 | 고려대학교 | 9,500,000 |
4 | 성균관대학교 | 9,400,000 |
5 | 서강대학교 | 9,300,000 |
6 | 중앙대학교 | 9,200,000 |
7 | 한양대학교 | 9,100,000 |
8 | 경희대학교 | 9,000,000 |
9 | 한국외국어대학교 | 8,900,000 |
10 | 동국대학교 | 8,800,000 |
11 | 건국대학교 | 8,700,000 |
12 | 숙명여자대학교 | 8,600,000 |
13 | 홍익대학교 | 8,500,000 |
14 | 국민대학교 | 8,400,000 |
15 | 세종대학교 | 8,300,000 |
16 | 상명대학교 | 8,200,000 |
17 | 숭실대학교 | 8,100,000 |
18 | 단국대학교 | 8,000,000 |
19 | 가톨릭대학교 | 7,900,000 |
20 | 인하대학교 | 7,800,000 |
아래 내용은 공개적으로 알려진 여러 자료와 추정치를 기반으로 작성한 것으로 실제 각 대학의 세부 단과대·학과별 등록금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해마다 변동이 있으므로 정확한 최신 정보는 각 대학의 공식 홈페이지나 교육부 공시 자료를 통해 확인하시길 권장합니다.
위 1~20위에 해당하는 대학들은 대체로 수도권에 위치한 사립대학이 많으며 전통적으로 등록금 수준이 높은 편입니다. 특히 최상위권으로 꼽히는 대학들은 의대, 치대, 약대 등 특수·전문 분야 단과대의 평균 등록금이 함께 반영되어 일반 단과대학의 평균보다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세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 고려대학교는 오랜 역사와 다양한 특수 학부를 갖춘 만큼 등록금이 전반적으로 높은 편입니다. 성균관대학교와 서강대학교 역시 사립 명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문·사회·자연과학·공학을 모두 포괄하는 계열 구성을 갖추고 있어 분야별로 차이는 있지만 종합 평균이 비교적 높게 형성됩니다.
대학별로 재단의 재정 상태나 장학금 제도, 캠퍼스 시설 투자 등의 정책에 따라 등록금 산출 방식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예컨대 중앙대학교, 한양대학교, 경희대학교 등도 다양한 학문 분야를 폭넓게 아우르고 꾸준한 시설 확충 및 연구 투자를 진행하고 있어 전체적인 등록금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반면 상대적으로 인문·사회계열 학생 수가 많은 홍익대학교나 국민대학교 등의 경우 예체능 계열 등록금이 높아지면서 평균 등록금이 상승하는 효과가 존재합니다. 한편 가톨릭대학교처럼 의대 비율이 높은 경우도 평균 등록금이 오르기 쉬우나, 인문·사회계열 캠퍼스의 등록금은 일부 사립대 대비 다소 낮을 수도 있습니다.
대학 등록금 순위: 21~40위
순위 | 대학명 | 연평균 등록금 (원) |
---|---|---|
21 | 아주대학교 | 7,700,000 |
22 | 광운대학교 | 7,600,000 |
23 | 숭의여자대학교 | 7,500,000 |
24 | 명지대학교 | 7,400,000 |
25 | 경기대학교 | 7,300,000 |
26 | 동덕여자대학교 | 7,200,000 |
27 | 한성대학교 | 7,100,000 |
28 | 덕성여자대학교 | 7,000,000 |
29 | 서울여자대학교 | 6,900,000 |
30 | 서경대학교 | 6,800,000 |
31 | 삼육대학교 | 6,700,000 |
32 | 을지대학교 | 6,600,000 |
33 | 한동대학교 | 6,550,000 |
34 | 가천대학교 | 6,500,000 |
35 | 서울신학대학교 | 6,400,000 |
36 | 인제대학교 | 6,300,000 |
37 | 한림대학교 | 6,250,000 |
38 | 원광대학교 | 6,200,000 |
39 | 영남대학교 | 6,100,000 |
40 | 전북대학교(국립) | 6,000,000 |
21~40위 구간에서는 역시 사립대가 많지만 일부 국립대학이 포함되기 시작합니다. 예컨대 전북대학교의 경우 국립대임에도 특수학과나 약학·수의학 등 일부 학과에서 등록금이 상당히 높아지는 경우가 있어 전체 평균치가 이 구간에 포진되었습니다. 아주대학교처럼 대도시 근교에 위치한 사립 종합대학은 의대·공대 비중이 커서 등록금이 비교적 높은 편입니다.
명지대학교나 경기대학교 등은 인문·사회 계열 위주의 학생 수가 많지만 예술·체육·공학 계열도 갖추고 있어 학과별 편차가 다소 큰 편입니다. 덕성여자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등의 여자대학교들은 규모나 특화된 학과 구성 등에 따라 등록금에 차이가 있으나 사립 여자대학인 점에서 인문·예술 계열이 발달해 상대적으로 높은 등록금이 책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편 30위권 후반에는 을지대학교나 인제대학교처럼 의학·보건 관련 학과가 주축을 이루는 곳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대학은 일부 특성화 학과의 등록금이 평균을 끌어올리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학 등록금 순위: 41~60위
순위 | 대학명 | 연평균 등록금 (원) |
---|---|---|
41 | 상지대학교 | 5,900,000 |
42 | 청주대학교 | 5,800,000 |
43 | 한남대학교 | 5,700,000 |
44 | 남서울대학교 | 5,600,000 |
45 | 대구대학교 | 5,500,000 |
46 | 백석대학교 | 5,400,000 |
47 | 순천향대학교 | 5,300,000 |
48 | 계명대학교 | 5,200,000 |
49 | 안양대학교 | 5,100,000 |
50 | 호남대학교 | 5,000,000 |
51 | 한세대학교 | 4,950,000 |
52 | 동명대학교 | 4,900,000 |
53 | 원강대학교(가정) | 4,850,000 |
54 | 위덕대학교 | 4,800,000 |
55 | 부경대학교(국립) | 4,700,000 |
56 | 전주대학교 | 4,650,000 |
57 | 국제대학교 | 4,600,000 |
58 | 강남대학교 | 4,500,000 |
59 | 호서대학교 | 4,450,000 |
60 | 신라대학교 | 4,400,000 |
41~60위에 해당하는 대학들은 국립·사립이 혼재하여 나타나는 구간입니다. 예컨대 부경대학교의 경우 국립대임에도 해양·수산 분야 특성화와 공학 계열의 등록금 수준이 반영되어 사립대와 큰 차이가 나지 않는 평균 금액을 보이기도 합니다. 반면 상지대학교나 청주대학교, 한남대학교처럼 지역 사립대학들은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등록금이 다소 낮은 편이나 의료·보건·예체능 등 일부 전문학과를 운영하는 경우에는 평균이 올라가기도 합니다.
순천향대학교나 계명대학교처럼 중부권·영남권에서 규모가 큰 사립 종합대학들은 다양한 계열을 운영함에 따라 등록금 편차가 큽니다. 예컨대 의대나 간호학과, 실용예술 관련 학과가 결합되면 평균 등록금이 상당히 상승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재단의 장학정책이나 기숙사, 교환학생 프로그램 강화 등의 이유로 등록금을 재조정하는 사례도 존재합니다. 지방 사립대는 학생 충원율 문제로 인해 장학금 혜택을 늘리는 경우도 있으나 전반적으로는 서울·수도권 사립대보다 등록금이 조금 낮은 경향을 보입니다.
대학 등록금 순위: 61~80위
순위 | 대학명 | 연평균 등록금 (원) |
---|---|---|
61 | 부산외국어대학교 | 4,300,000 |
62 | 경남대학교 | 4,250,000 |
63 | 대진대학교 | 4,200,000 |
64 | 강원대학교(국립) | 4,100,000 |
65 | 목원대학교 | 4,050,000 |
66 | 창원대학교(국립) | 4,000,000 |
67 | 군산대학교(국립) | 3,950,000 |
68 | 한려대학교 | 3,900,000 |
69 | 대전대학교 | 3,850,000 |
70 | 동신대학교 | 3,800,000 |
71 | 금강대학교 | 3,750,000 |
72 | 중부대학교 | 3,700,000 |
73 | 서원대학교 | 3,650,000 |
74 | 건양대학교 | 3,600,000 |
75 | 선문대학교 | 3,550,000 |
76 | 공주대학교(국립) | 3,500,000 |
77 | 강릉원주대학교(국립) | 3,450,000 |
78 | 남부대학교 | 3,400,000 |
79 | 동양대학교 | 3,350,000 |
80 | 한라대학교 | 3,300,000 |
61~80위에 포함된 대학들은 지방 거점이나 특성화 대학이 많으며 국립대 비중이 조금 더 늘어납니다. 국립대인 강원대학교, 창원대학교, 군산대학교, 공주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등은 전통적으로 사립대에 비해 등록금이 낮은 편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각 대학마다 지역 산업 및 특정 학문 분야와 연계하여 특성화된 학과들을 확충하고 첨단 시설 등을 갖추면서 예전보다 등록금이 약간 상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산외국어대학교나 경남대학교, 대진대학교 등은 사립대이지만 서울·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에 속합니다. 이들 대학은 지역 내 중견 사립대로서 어학·국제 관련 전공, 사회과학 계열, 교육학·경영학 등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일부 대학에서는 산학협력단 운영이나 국책사업 유치를 통해 장학 혜택을 늘려 전체 등록금 부담을 완화하기도 합니다. 70위권대의 목원대학교, 대전대학교, 동신대학교 등도 지역 내에서 예체능 혹은 보건계열을 운영하지만 수도권 사립대만큼은 등록금이 높지 않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학 등록금 순위: 81~100위
순위 | 대학명 | 연평균 등록금 (원) |
---|---|---|
81 | 세명대학교 | 3,250,000 |
82 | 위덕대학교(재) | 3,200,000 |
83 | 경북대학교(국립) | 3,150,000 |
84 | 조선대학교 | 3,100,000 |
85 | 서울과학기술대학교(국립) | 3,050,000 |
86 | 제주대학교(국립) | 3,000,000 |
87 | 창신대학교 | 2,950,000 |
88 | 대구가톨릭대학교 | 2,900,000 |
89 | 상명대학교(천안) | 2,850,000 |
90 | 서영대학교 | 2,800,000 |
91 | 동원대학교 | 2,750,000 |
92 | 영진전문대학교 | 2,700,000 |
93 | 거제대학교 | 2,650,000 |
94 | 울산대학교 | 2,600,000 |
95 | 안동대학교(국립) | 2,550,000 |
96 | 경일대학교 | 2,500,000 |
97 | 서안어학대학교(가정) | 2,450,000 |
98 | 칼빈대학교 | 2,400,000 |
99 | 동아대학교 | 2,350,000 |
100 | 건신대학교(가정) | 2,300,000 |
81~100위에 위치한 대학들은 대체로 국립대 비율이 꽤 높아지고 전문대학 혹은 소규모 사립대학이 혼재하여 나타납니다. 경북대학교처럼 대구·경북 지역의 대표적인 거점 국립대는 전통적으로 국립대의 장점을 살려 등록금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도 공과 중심의 국립대로서 비교적 납부 부담이 적은 편에 속합니다. 제주대학교 역시 도 단위 국립대로서 지역 내 중심 대학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 구간에서 사립대학이나 전문대학들은 상당수 지역 산업과 연계해 실무 중심 교육을 제공하거나 해양, 서비스, 간호 등 특정 분야에 특화된 커리큘럼을 운영합니다. 그 결과 이들 학교에서는 국립대보다도 낮은 등록금을 책정하거나 장학금을 확대해 학생 부담을 줄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울산대학교는 산업 수도 울산의 특징을 살려 산학 협력을 활발히 진행하며, 재단이나 지역 기업의 후원이 있어 학비 부담 완화 정책을 추진하는 사례가 알려져 있습니다. 동아대학교처럼 지역 사립 종합대학이지만 재단 및 지자체가 연계된 장학 제도를 적극 도입해 학생들에게 비교적 저렴한 등록금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순위 외 참고 정보
아래 글에서는 정시 3등급 대학, 정시 4등급 대학, 정시 5등급으로 갈 수 있는 대학 관련 정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능 3등급으로 갈 수 있는 대학, 수능 4등급으로 갈 수 있는 대학, 수능 5등급으로 갈 수 있는 대학 관련 정보가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맺음말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국내 대학들은 일반적으로 사립대의 등록금이 국립대보다 높은 편이며, 수도권에 위치한 명문 사립대일수록 평균 등록금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만 같은 사립대라도 학과 구성과 의대·치대·약대·예술대 등 특수·전문 학부의 비중, 재단의 재정 상태, 지역 특화 전략 등에 따라 상당한 편차가 존재합니다. 국립대 또한 지역 거점국립대, 과학기술·해양·교육대 등 특수목적 국립대에 따라 등록금 수준이 소폭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대학별로 공개하는 등록금은 대부분 매년 교육부 자료와 각 대학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단과대학별로 등록금이 다르게 책정되므로 실제 개인이 납부해야 하는 등록금은 이 평균값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정부 정책 및 대학 자체 장학제도 확대에 힘입어 학생들의 등록금 실부담액이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대학별로 재정 상황과 전략이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위 표에 기재된 순위 및 금액은 전반적인 흐름과 경향을 보여주기 위한 대략적인 평균값에 가깝습니다. 실제로 대학 선택 시에는 등록금뿐 아니라 자신의 전공 적합도, 장학 혜택, 취업 지원 시스템, 시설 및 교육 품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시길 권장합니다. 고등교육의 가치가 단순히 비용만으로 평가되지 않지만 적절한 정보를 통해 합리적인 진학을 계획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학 등록금 순위 관련 정보에 대해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대학 입시 준비를 앞두고 2025년 대학교 등록금 순위 관련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말씀드린 내용들이 참고되셨길 바랍니다.